본문으로 바로가기

교육

개발정책학

개발정책학 석사과정 (MASTER OF DEVELOPMENT POLICY)

개발정책학 석사과정(MDP)은 한국의 발전경험을 바탕으로 개발관련 이론 및 실무를 결합한 교육을 통해 세계의 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할 국제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제사회정책 수립·집행 역량 함양과 대외원조 및 국제개발전문가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MDP과정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Sustainable Development』 또는 『International Development』분야에서 일정 과목 이상을 수강하여야 한다. 또한 개도국 공무원과 국내외 개발 전문가, 일반 학생 등의 다양한 학생 구성은 최고의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 및 인적교류의 최적의 기회를 제공한다.

교육목표

  • 개도국의 경제사회정책 수립 및 집행역량 함양
  • 대외원조 및 국제개발 전문가 양성

과정 특징

  • 개발관련 이론 및 실무를 결합한 현실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
  • KDI(한국개발연구원)의 45년간 축적된 개발정책 자문경험 공유
  • 개도국 공무원 및 국내외 개발 전문가 등 다양한 학생 구성

과정별 교육분야(Program Specific Concentr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지속가능 개발 / SD)

  •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에 필요한 정책이슈에 관한 기본이론과 실무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목표
    • 1빈곤, 노동, 인구, 교육, 의료, 인권, 사회 변화 등과 같은 인적 개발 이슈
    • 2성장, 생산성, 기술, 거시경제, 프로젝트 평가, 환경, 에너지 등의 성장 이슈 등과 같은 지속가능한 경제개발 분야에서의 이론적 지식과 실무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교육 내용
  • 국제기구, NGO, 국내외 정부 및 공공부문의 현재와 미래의 중견간부가 교육대상
Selected Courses List
  • Analysis of Education Policy in Comparative Perspectives
  • Development and Labor Market Policy
  •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in Korea
  • Economic Analysis of Investment Operations
  • Economic and Social Transformation of Korea
  • Entrepreneurship and Development
  • Environmental Polic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 Finance and Development
  • Gender and Development
  • Global Health and Development
  • Human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 Introduction to Environment Policy
  • Korean Human Development
  • Labor Market Institutions and Practices
  • Macroeconomic Policy
  • Planning and Managing Development Projects
  • Population and Development
  • Private Sector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 Resource and Energy Policy
  • Resource Diplomacy
  •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Seminar on Project Appraisal and Evaluation Cases
  • Social Entrepreneurship for Development
  •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 Technology Strategy and Public Policy
  • Urban Economics and Public Policy
  • Urban Transportation Policy
  • Urbanization in Economic Development

International Development (국제개발 / ID)

  • 국제 경제 및 외교정책과 개발 간의 관계에 대해 교육
    • 1공적개발원조 (ODA), 무역, 외국인직접 투자(FDI), 국제금융, 국제기구
    • 2국가 또는 지역 연구 등 지역 문제 등의 다양한 분야가 주된 교육 내용
  • 국제기구, NGO, 무역관련 분야 종사자, 국내외 정부 및 공공부문의 현재와 미래의 중견간부가 교육대상
Selected Courses List
  • Aid and Development Challenges and Governance in Global Financial Market
  • Development of Latin America in the Global Economy
  • Economic Development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 FDI Marketing & Promotion
  • G20 Global Issues
  • Global Governance and Diplomatic Practice
  • Globalization and National Identity
  • Industrial Policy and International Trade Regulation
  •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Policies
  • International Financial Management
  • Issues in African Economic Development
  • Korean Economic Development
  • Middle Powers in Global Governance
  • North Korean Economy and Inter Korean Economic Cooperation
  • Policies for Development: The OECD Development Center
  • Practicum in Economic Development
  • Public Manage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 Theory and Policy of International Trade
  • Topics on Chinese Economy
  • Trade and Development
  • Trade and Industrial Policy in the Globalization Era
  • Trade Law and Policy in Practice
  • Understanding Free Trade Agreements
  • Understanding Knowledge Sharing and Development Cooperation
  • Understanding the World Economy
  • Understanding the World Trading System

MIPD

지식재산·개발정책학 석사과정 (Master in Intellectual Property and Development Policy)

지식재산·개발정책학 석사과정(MIPD)은 세계 최초로 개설된 지식재산-개발정책 접목형 석사학위과정으로, 국제 지식재산권과 관련 정책, 저작권 및 관련 권리, 특허 등과 같은 IP

영역에 중점을 둔 커리큘럼이다. 개발정책과 지식재산권, 그리고 양자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폭 넓고 깊은 이론과 사례를 습득하고 세계화 시대에 이것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해함으로써 글로벌 관점과 전문지식을 가진 지식재산권 및 개발정책 분야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UN 산하 지식재산권 국제기구인 세계지식재산권기구와 대한민국 특허청과 공동 개설하여

해당 기관 소속 전문가의 수준 높은 강의를 접할 수 있다.

교육목표

  • 세계적 시각과 글로벌 전문역량을 가진 개발정책 및 지식재산권 전문가 양성
  • 개발정책 및 지식재산권을 아우르는 정책 전문가 양성

과정 특징

  • 개발정책 및 지식재산권 분야 지정과목을 필수 이수해야 졸업요건 충족
  • 필수 선수과목(지식재산권 관련 온라인수업) 수강에 따라 1년 만에 졸업가능

과정별 교육분야(Program Specific Concentrations)

Intellectual Property and Innovation Policy (지식재산 및 혁신정책 / IP)

지식재산권 및 혁신정책(IP)의 혁신은 기술 변화와 세계화 시대에 인류발전의 핵심이다. 혁신은 전기, 생명공학, 재생에너지, 깨끗한 물의 지속가능한 공급 등의 발전을 통해 글로벌 커뮤니티를 발전시킨다. 특허, 디자인, 상표, 저작권 및 기타 모든 지식재산권은 한 국가의 사회, 경제 및 환경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식재산법 및 관리는 이러한 혁신과 발전에 필요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된다. 지식재산 및 혁신정책(IP) 과정은 지식재산과 개발정책, 지식재산 혁신, 경제성장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IP 정책 결정자이자 공공 및 민간부분 의사결정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심도 있는 지식과 전문성, 실용적인 노하우를 제공한다. 


Selected Courses List

  • Introduction to Development Policy
  • Analysis of Market and Public Policy
  •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Law and Development
  • Copyright and Related Rights
  • Quantitative Methods
  • Trademarks, Designs and Geographical Indications
  • Patents and Innovation
  • IP, Emerging Issue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 Korean Economic Development
  • Trade and Development
  • IP Management and Practice


전체 프로그램 공통 교육분야 (Common Concentration)

Data Science for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공공정책·관리 데이터사이언스 / DS)

  • 컴퓨팅 사고력과 데이터 사이언스 기술습득을 통해 공공정책과 관리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적인 전문가 양성
  • 데이터 사이언스의 기본적인 사고 및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두 개의 Basic과목이 있으며, 이후 개별 관심사에 따라 세부 기술 강화 또는 습득한 데이터사이언스 사고 및 기술을 공공 정책 및 관리 이슈에 적용하는 Advanced 과목 선택 수강 정책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 시각화, 머신러닝, 빅데이터, 텍스트 통계 분석 및 지리정보 분석 등의 학업을 수행

공통 교육분야(common concentration)은 2nd 세부전공으로만 지정가능하며, 1st 세부전공은 속한 과정의 교육분야에서만 선택할 수 있음.

Selected Courses List
  • Programming fundamentals using Python
  • Programming fundamentals using R
  • Network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 Data visualization
  • Machine learning for data science
  • Korea’s Microdata Analytics for Public Policy